[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지정학
[원서의 향기] 아랍과 중동…지정학
  • 김위영 고전연구가
  • 승인 2023.11.07 08:5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①폭력과 분쟁의 소용돌이…‘이슬람 문화’ 그 자체인가, ‘식민 지배의 유산’인가

 

김위영 고전연구가(사진), B2B 산업번역 크리덴셜(https://credloc.com/ko/) 대표이사

 

최근 ·팔전쟁’(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 하마스간 전쟁)으로 중동이 뜨거운 감자이다. 아랍과 중동은 다양하고 복잡하며 아랍과 중동은 다른 개념이다. 우선 아랍은 민족적이고 문화적 표현으로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 민족으로 아랍 연맹을 구성한 22개국이 있다. , 알제리, 바레인, 코모로, 지부티,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리비야, 모리타니아, 모로코, 오만, 팔레스타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소말리아, 수단, 튀니지, 아랍에미리트, 예멘, 시리아이다. 따라서 이란, 이스라엘, 튀르키에(터키)는 아랍이 아니다.

중동은 유럽 중심의 시각에서 정해진 지정학적 개념으로, 아랍, 튀르크, 페르시아, 유대, 쿠르드 민족이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를 믿으며 산다. 아랍 연맹과 비아랍연맹(터키, 이란,이스라엘), 북아프리카(알제리, 이집트, 리비아, 모로코, 튀지니), 서브-사하라 국가의 일부가 포함된다.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은 이슬람 창시자 무함마드가 죽기 전에 승계자(칼리프)를 지정하지 않아 누구를 승계자로 할 것인가에 대한 대립이 있었다. 혈통을 중시하는 시아파와 능력을 중시하는 수니파로 나뉘었고 지금까지 서로 충돌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니파 대표국이며 이란은 시아파 종주국이다.

중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양분되어 있다. 끊이지 않는 폭력과 분쟁의 원인이 이슬람 문화자체라고 주장하는 쪽과 식민 지배의 유산이라고 주장하는 쪽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저명한 영문학자 Edward W. Said(에드워드 사이드,1935~2002)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서 오리엔트, 즉 중동 이슬람 세계의 문제는 전적으로 서구의 제국주의 때문이라고 말한다. 나아가 서구는 제국주의의 파괴적 음모를 은폐하려고 오리엔트를 의도적으로 비하하며 오리엔탈리즘이란 학문을 체계화했다고 강조한다.

1차 세계대전 이후에 전승자인 영·불이 중동의 국경을 직선적으로 나눈 것이 중동 분쟁의 가장 큰 원인을 제공했다고 생각된다. 수니파와 시아파를 구별하지 않고 한 나라에 같이 공존하도록 국경을 임의로 정하여 내전을 치른 나라가 시리아, 리비아, 예멘이며 지금도 중동은 서로 간에 끊임없는 분쟁이 일어나고 있다.

아랍에는 왕정국가가 6개국(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오만,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연합)이 있고 거의 대부분 비민주적 국가이다. 이란은 1976년 호메이니의 이란 혁명을 거쳐 페르시아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이란은 시아파 연대(이라크, 레바논 헤즈볼라)와 반미 전선(시리아,팔레스타인 하마스, 수단,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미국에 대항하고 친미 수니파 왕정 국가들(사우디, 요르단 등)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에선 세일 혁명으로 중동에 대한 석유 의조가 감소하고 오바마 대통령 이후에 이스라엘과 중동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고 있다. 친미 국가인 사우디는 석유의 종언, 왕정 반대 세력의 암약, 이란 혁명 세력의 부상으로 삼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란은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예멘을 혁명사상으로 무장하고 돈(석유)과 무기를 제공하여 사우디를 압박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전쟁은 아직도 해결방안이 보이지 않는다. 두 나라가 공존하는 방법은 두 나라 체제를 인정한 <오슬로 협정>을 준수하는 것이 최선인데 아직 실현되려면 갈길이 멀다. 이스라엘도 모두가 유대교는 아니다. 동유럽에서 이민온 사람은 마르크스주의자도 있고 비유대교인도 많다. 텔아비브엔 많은 동성애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본고는 3회를 연재하고 <이슬람>, <중동분쟁과 이·팔전쟁>을 다른 꼭지로 다룰 예정이다.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아랍인의 역사, 1991)

 

레바논 출신의 영국인으로 기독교 가정에서 자란 역사학자 Albert Hourani(알버트 후라니, 1915~1993)는 이슬람 성립 시기인 7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아랍 역사의 개론서를 출간하여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단순한 정치사의 영역을 훌쩍 뛰어넘어 경제, 사회, 사상, 문화의 변천사라고 할 수 있다.

 

Before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this Arab ruling group was identifying its new order with a revelation given by God to Muhammad, a citizen of Mecca, in the form of a holy book, the Qur‘an: a revelation which completed those given to earlier prophets or messengers of God and created a new religion, Islam, separate from Judaism and Christianity. --P.14

7세기 말엽에 아랍 지배층은 메카 시민인 무함마드가 경전의 형태인 <쿠란>으로 신의 계시를 받은 새로운 질서를 확인했다. 계시는 알라 신이 선대의 예언자나 사도들을 통해 내린 과거의 계시를 완성하고 유대교와 기독교와 구분되는 새로운 종교인 이슬람을 탄생시켰다.

 

The creation took place by a manifestation of God’s Being through His Names or attributes. The Names could be seen in three aspects: in themselves as being part of the essence of the Diving Being, as eternal archetypes or forms, and as realized in specific and limited existent beings. In their active form the Names were known as Lords. --P.176

창조는 알라의 존재가 이름이나 속성을 통해 현시로써 이루어진다. 알라의 이름은 세 가지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첫째, 그 자체로서 신성한 존재의 본질의 일부다. 둘째, 이름은 영원한 원형 또는 형상이다. 셋째, 이름은 제약된 구체적인 실존 속에서 구현된다. 능동적 행태로서 이름은 군주로 알려졌다.

 

There was one annual celebration, however, which had a special meaning for Shi’is. This was ‘ashura, the commemoration of the battle of Karbala at which the Imam Husayn had been killed on the tenth day of the most significant days in history. It marked the point at which the visible course of the world had diverged from that which God had willed for it. --P.184

하지만 사아파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연례 기념행사가 있다. 이는 아슈라로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날인 680년 이슬람력 110일에 이암 후세인이 살해당한 카르발라 전투를 기념하는 행사다. 이날을 기점으로 세계 역사의 흐름은 알라가 원했던 방향으로부터 어긋나가 시작했다.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age when Europe dominated the world. The growth of large-scale factory production and the changes in methods of communicationthe coming of steamships, railways and telegraphsled to an expansion of European trade. This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armed power of the great European states; the first major conquest of an Arabic-speaking country was that of Algeria by France(1830-47). --P. 263

19세기는 유럽이 세계를 지배하던 시대였다. 대규모 공장 생산의 성장과 소통 방법의 변화 - 증기선, 철도, 전보의 등장 - 는 유럽 무역의 팽창을 유도했다. 이는 유럽 강대국의 군사력에 증가를 동반했다. 아랍어권 나라들에 대한 최초의 주요한 정복은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이었다(1830-1847).

 

It was the Balkan rivalry of Austria and Russia which was the immediat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in 1914, and when the Ottoman Empire entered the war in November on the side of Germany and Austria, and against England, France and Russia, its own lands became a battle-ground. --P.315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는 발칸의 경쟁자들이었고,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반발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오스만 제국이 11월 영국, 프랑스, 러시아에 대항하여 독일과 오스트리아 편에서 참전하였을 때,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전쟁터가 되었다.

 

An Anglo-French agreement of 1916, while accepting the principle of Arab independent laid down in the correspondence with the sharif/Hussayn, divided the area into zones of permanent influence(the Sykes-Picot Agreement, May 1916); and a British document of 1917, the Balfour Declaration, stated that the government viewed with favor the establishment of a Jewish national home in Palestine, provided this did not prejudice the civil and religious rights of the other inhabitants of the country. --P. 318

1916년 영국-프랑스 협정은 샤리프 후세인과의 서한에서 규정된 아랍 독립의 원칙을 수용하면서, 아랍지역을 영구적인 영향력이 있는 구역으로 나누었다(사이크스-피코협정, 19165).

1917년 영국 문서인 벨푸어 선언은 영국 정부가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민족 국가의 설립에 호의적이며, 이것은 이 나라의 다른 주민들의 시민권과 종교적 권리를 손상시키지 않는다고 규정했다.

 

In Palestine, the acquisition of land for European Jewish immigrants, which had begun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continued within the new system of administration established by Britain as mandatory government. Jewish immigration was encouraged. --P.323

팔레스타인에서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유럽 유대 이민자들을 위한 토지 취득은 영국이 위임통치 정부로 수립한 새로운 행정체제 내에서 계속되었다. 유대인 이민은 장려되었다.

 

In 1964 the Arab League did create a separate entity for them,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PLO), but it was under Egyptian control and the armed forces connected with it formed part of the armies of Egypt, Syria, Jordan and Iraq. --P.412

1964년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인들을 위한 별도의 실체인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창설하였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이집트의 통제하에 있었고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연계된 무장 조직들은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아라크 군대의 일부를 구성하였다.

 

The struggle should aim at creating a universal Muslim society in which there were no distinction of race, and one which was worldwide. ‘The Western age is finished’: it could not provide the values which were needed to support the new material civilization. Only Islam offered hopes to the world. --P.446

투쟁은 인종 차별이 없는 보편적 무슬림 사회의 창설을 목표로 했고 세계적인 사회였다. ‘서구 시대는 끝났다’. 서구는 새로운 물질문명을 후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치를 제공할 수 없다. 오직 이슬람만이 세계에 대한 희망을 제시했다.

 

 

The Middle East(중동, 1995)

 

영국 출신으로 금세기 최고의 중동-이슬람 학자였던 Bernard Lewis(버나드 루이스, 1916 ~ 2018)교수는 다수의 중동-아랍에 대한 명저를 저술했다. 본서는 기독교 시대부터 1990년대까지 중동의 역사와 사회 및 문화를 설명하고 있다.

 

In a region where illiteracy remains a major problem, the introduction of direct communication in the spoken word had a revolutionary impact. Indeed, the Iranian Revolution of 1979, in which the Ayatollah Khomeini’s orations were distributed on cassettes and his instructions transmitted by telephone, must surely be the first electronically operated revolution in world history. --P.13

문맹이 큰 문제인 지역에서 구어(口語)로 하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도입은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1979년의 이란 혁명은 아야톨라 호메이니의 연설이 카세트테이프로 배포되고 그의 지시가 전화로 전달된 세계 역사상 최초의 전자 장비에 의한 혁명이었다.

 

In modern times, the dominating factor in the consciousness of most middle Easterners has been the impact of Europe, later of the West more generally, and the transformationsome would say dislocationwhich it has brought. The modern history of the region is one of rapid and enforced changeof challenge from an alien world and of different phrases and aspects of reaction, rejection, and response. --P. 17

현대에서 대부분 중동인의 의식 속에 지배적인 요소는 유럽의 영향이며 후일 더 일반적인 서구의 영향이고 영향이 초래한 변형(일부는 탈구라고 한다)이다. 이 지역의 근대사는 급속하고 강제적 변화의 역사였다. 이질적인 세계로부터 도전의 역사였고, 대항. 거부, 반응에 대한 다양한 단계와 양상의 역사였다.

 

During the first six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 there are two major phases in the history of the Iranian Empire: the first that of the Parthians; the second, that of the Sasanids. The first Sasanid ruler, Ardashir(220-240 CE), launched a new series of wars against Rome. His successor Shapur Ι(240-271 CE), even succeeded in capturing the Roman emperor Valerian in battle. --P.36

기독교 시대 처음 6세기 동안 이란 제국의 역사에서 두 개의 주요한 국면이 있었다. 첫 번째는 파르티아이고, 두 번째는 사산 왕조이다. 사산 왕조의 첫 통치자인 아르다시르 1(재위 220-240)는 로마에 대항한 새로운 일련의 전쟁을 시작했다. 그의 후계자인 샤푸르 1(재위 240-271)는 전쟁에서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를 포로로 잡는 데 성공했다.

 

The shahada, or declaration of faith(literally, testimony), is the first of the five pillars of Islam. The second is prayer, and more particularly the salat, the set ritual prayer to be offered with prescribed words and motions five times every day at sunrise, midday, afternoon, susset, and evening. --P. 230

신앙 고백(문자적으로의 증언)샤하다는 이슬람의 다섯 기둥 가운데 첫 번째이다. 두 번째 기둥은 기도인 살라트로 하루에 5번 일출, , 오후, 일몰, 밤에 드리는 의례적인 예배이다.

 

The decline of the Ottomans was due not so much to internal changes as to their inability to keep pace with the rapid advance of the W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rts of both war and peace, and in government and commerce. --P. 289

오스만의 쇠퇴는 내적 변화 때문이라기보다는 과학과 기술, 전쟁과 평화의 기술 그리고 정부와 상업에서 서구의 급속한 향상을 따라잡지 못한 그들의 무능 때문이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of this century in the area was the discovery, exploitation, and use of petroleum. The progress began in the Russian-ruled parts of the Middle East, where a first drilling for oil took place in the Apsheron peninsula as far back at 1842. --P.352

중동에서 금세기의 가장 중요한 변화의 하나는 석유의 발견과 개발 그리고 사용이었다. 과정은 중동 지역의 러시아가 지배한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석유의 최초 시추는 184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압세론 반도에서 이루어졌다.

 

At the same time, the progress was extended to the rest of the Arab world. Libya became independent in 1951, the Sudan, Tunisia and Morocco in 1956, Mauritania in 1960, Kuwait in 1961, Algeria in 1962, South Yemen(the former Aden colony and Protectorate) in 1967, and the Gulf states in 1971. All of them joined the Arab League. --P. 358

동시에 이러한 독립의 과정은 나머지 아랍세계까지 확대되었다. 리비아는 1951, 수단, 튀지니, 모로코는 1956, 모리타니아는 1960년에, 쿠웨이트는 1961년에, 알제리는 1962년에, (아덴 식민지이고 보호령이었던) 남예멘은 1967년에 그리고 걸프 소국들은 1971년에 각각 독립했다. 이 국가들 모두는 아랍 연맹에 가입했다.

 

The most dramatic of these wars was certainly that of 1967, when in six days the Israeli armed forces inflicted crushing defeats, in rapid succession, on the armies of Egypt, Jordan, and Syria, and on an Iraqi expeditionary force. By the end of the war, Israel was in possession not only of the whole territory of mandatary Palestine west of the Jordan, but also the Golan heights, taken from Syria in the north, and the Sinai peninsula, taken from Egypt in the south. --P. 365

이 전쟁의 가장 극적인 전투는 분명히 1967년 전쟁이었고 6일 안에 이스라엘군은 이집트군, 요르단군, 시리아군 그리고 이라크 원정군에게 연이어 참혹한 패배를 안겨주었다. 전쟁이 끝나자 이스라엘군은 요르단 서쪽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전역은 물론, 시리아로부터 빼앗은 북쪽의 골란 고원, 이집트로부터 빼앗은 남쪽의 시나이반도까지 차지했다.

 

Where fundamentalists and democrats are both in opposition. The former have an immense advantage. In the mosques ad preachers, they dispose of a network of meeting and communication that no government, however tyrannical, can entirely control and no other group can rival. --P. 380

원리주의자와 민주주의자가 대립하는 곳에서는 원리주의자가 막대한 이점을 가진다. 이슬람 사원 모스크와 설교자들은 어떤 정부 비록 전제군주라고 할지라도 전적으로 통제할 수 없고, 그 어떤 다른 집단도 감히 견줄 수 없는 회합과 연락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A history of the Middle East(중동의 역사, 2003, 4th)

 

인도 출신의 영국인 Peter Mansfield(피터 맨스필드, 1928~ 1996)1961~1968까지 Sunday Times 중동 특파원이었다. 1992년 초판이 발간하였고 저자의 사후에는 동료인 Nicolas Pelham(니콜라스 펠햄)이 개정을 했다.

 

However, there were two drawbacks for the rulers of the empire. One was that so much of the newly created wealth accrued to foreigners, who benefited from the Capitulations, rather than to Ottoman subjects. The other was that the ending of the traditional system of government monopolies eliminated the principal source of state revenues. --P.74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통치자에게 두 가지 단점이 있었다. 하나는 새로 창출된 부의 상당 부분이 오스만 제국의 신민이 아닌 항복으로 이익을 얻은 외국인에게 귀속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전통적인 정부 독점 체제의 종식으로 국가 수입의 주요 원천이 제거된 것이다.

 

Ottoman reformers and their European advisers were under no doubt that the biggest single obstacle to the improvement of the Turkish economy was the poor communication systems. When Abdul Hamid came to the throne there were only a few hundred miles of railway: the road system was rudimentary and the ports were primitive. The costs of moving farm produce across the country for export were prohibitive. --P. 91

오스만 개혁가들과 그들의 유럽 고문들은 터키 경제의 증진에 가장 큰 장애물이 열악한 교통 시스템이라는 점에 대해 의심을 품었다. 압뒬 하미트(1842~1918)가 왕위에 올랐을 때 철도는 수백 마일에 불과했다. 도로 시스템은 초보적이었고 항구는 원시적이었다. 수출을 위해 전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옮기는 운송 비용이 엄청났다.

 

The dismembermenet of the Ottoman Empire thu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five new statesSyria, Lebanon, Transjordan, Iraq and Palestine. All of them were under the tutage of Britain or France, which had also been chiefly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the shape of their frontiers. --P. 207

오스만 제국의 해체는 시리아, 레바논, 트랜스요르단, 이라크, 팔레스타인 등 5개의 새로운 국가의 탄생을 초래했다. 그들 모두는 영국이나 프랑스의 지도를 받았고, ·불은 역시 이들 국가의 국경의 형태를 확립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었다.

 

As all the major oil producing countries joined OPEC, its members accounted for 90 per cent of oil exports outside the communist world. But OPEC was in no way an effective cartel, as its members lacked both the means and the determination to impose pro-rationingthat is, the limiting of production on a quota system which would have been the only way to raise price. --P.319

모든 주요 산유국이 OPEC에 가입하면서 OPEC 회원국들은 공산권 외부의 석유 수출의 90%를 차지했다. 그러나 OPEC은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할당제(할당제에 따라 생산량을 제한)를 부과할 회원국의 수단과 결단이 부족했기 때문에 결코 효과적인 카르텔이 아니었다.

 

Among the Arabs who most fiercely resisted Western domination there were indeed some who saw nothing of value outside Islam. These were Muslim nationalist rather than Arab nationalists; today they are called fundamentalists. --P. 364

서구의 지배에 가장 격렬하게 저항한 아랍인들 중에는 실제로 이슬람 밖에서는 아무런 가치도 찾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은 아랍 민족주의자라기보다는 이슬람 민족주의자였다. 오늘날 그들은 근본주의자라고 부른다.

 

Unlike nationalism, socialism and liberalism, Islamic activism was the first home-grown ideology in the Arab world. It gained wide currency in the late 1980s and throughout the 1990s because it thrived in one non-governmental institution no Arab regime dares ban: the mosque. --P. 423

민족주의, 사회주의, 자유주의와는 달리 이슬람 활동주의는 아랍세계 최초의 자생 이념이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전반에 걸쳐 폭넓은 통용을 얻었다. 왜냐하면 아랍 정권이 금지할 수 없는 비정부 기관인 모스크에서 번성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손종옥 2023-11-07 17:04:25
아랍과 중동의 차이점과 수니파와 시아파의 유례와 구별하는 방법등 체계적인 글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