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현대①…민족운동 일어나다
인도네시아 현대①…민족운동 일어나다
  • 김현민 기자
  • 승인 2024.01.04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양식 교육 받은 지식층의 자각…이슬람과 공산주의 두 갈래로 독립운동 전개

 

인도네시아(Indonesia)란 명칭은 1850년 영국의 인류학자 조지 윈저 얼(George Windsor Ear)이 처음 사용했다. 그는 인도와 싱가포르, 바타비아, 호주를 여행하면서 말레이반도와 호주대륙 사이의 열도를 그리스어 Indos(인도)nesos(열도)를 합성해 인도양의 섬들이란 의미로 인두네시아(Indunesia)란 용어를 창안했다. 그의 제자였던 제임스 리처드슨 로건이 인도네시아(Indonesia)라는 단어를 즐겨 썼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인도네시아란 단어를 거부하고 동인도(East Indies)라는 말을 고집했다.

근대 이전에 인도네시아는 통일국가를 수립한 적이 없었다. 마자파힛 왕국(1293~1527)이 강력했지만 열도를 통합하지 못했고 작은 왕국들을 수직적으로 지배하는데 그쳤다. 네덜란드 제국주의가 열도를 지배하면서 식민정부에 저항하는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민족 개넘을 형성했다. 인도네시아란 단어를 공식적으로 채택한 것은 민족주의자들이 1920년경에 네덜란드인들이 싫어하는 인도네시아란 단어를 사용하면서였다. 1945년 독립선언에서 인도네시아는 정식국명이 되었다.

 

카르티니 /위키피디아
카르티니 /위키피디아

 

인도네시아의 민족적 자각은 네덜란드 왕국의 윤리정책이 초래한 결과였다. 네덜란드 정부는 식민지 주민을 노예 다루듯 착취하고 인권을 무시하다가 반발이 격화되자 1901년 빌헬미나(Wilhelmina) 여왕의 왕명으로 윤리정책(Ethical Policy)이라는 유화정책을 추진했다. 그 핵심이 식민지인에 대한 교육이었다. 식민당국은 원주민들에게 공무원과 의사를 양성하는 학교를 설립했다. 이곳을 졸업한 학생들은 식민지의 부당성을 깨닫게 되고, 주민들의 자치를 요구하게 되었다.

초기 민족주의자로 유명한 인물은 카르티니(Kartini). 주지사의 딸이었던 그녀는 여성해방, 인도네시아인의 동등한 인권 보장, 착취 종식, 근대화를 주장했다. 카르띠니의 영향을 받아 1908년 만들어진 조직이 부디 우토모’(Budi Utomo)였다. “숭고한 마음을 뜻하는 이 조직은 최초의 민족단체로서 주로 전현직 의사들로 구성되었으며, 창립 2년 후인 1910년에 1만명의 회원에 40개 지부로 확대되었다. 이 조직은 정치운동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1925년 바타비아(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공산당 회의 /위키피디아
1925년 바타비아(자카르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공산당 회의 /위키피디아

 

본격적인 민족운동은 두 갈래에서 전개되었다. 하나는 이슬람이고, 다른 하나는 공산주의다.

1911년에 전통의류 바틱(batik)을 사고파는 상인들이 중국상인들에 대항하기 위해 이슬람상인연맹을 결성한데 이어, 1912년 조직을 확대해 이슬람연맹(SI, Sarekat Islam)을 만들게 되었다. 이 조직은 최초의 대중정당의 역할을 했다. 이슬람연맹은 전국적인 조직을 갖추었고, 1916년에 80개 지부에 135만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또다른 갈래는 공산주의다. 인도네시아엔 일찍이 사회주의가 파급되었다. 네덜란드인 사회주의자 스네이블리트(Henk Sneevliet)1913년 인도네시아로 건너가 이듬해 동인도사회민주당을 결성했다. 1918년 러시아 공산혁명이 성공한 이후 이 조직에 가입했던 인도네시아인들은 19205월 별도로 동인도공산주의자연합을 결성했고, 1924년에 명칭을 인도네시아공산당(PKI, Partai Komunis Indonesia)으로 바꿨다. 중국공산당이 1921년에 창건한 것에 비교하면 인도네시아공산당은 1년 앞서 조직되었으며, 이로써 아시아 최초의 공산당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슬람연맹은 상인과 중소기업가들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공산당 이념과 맞지 않아 공산주의자들을 축출했다. 추방된 공산주의자들은 1926~1927년에 자바의 반텐과 수마트라 미낭카바우에서 혁명운동을 시도했다. 봉기는 격렬했다. 식민당국도 공산주의자들의 봉기를 철저히 탄압했다. 진압과정에서 13,000명이 체포되었고, 이중 핵심 당원 1,300여명은 서파푸아(서뉴기니)의 악명 높은 보벤디굴 감옥으로 끌려갔다. 공산당 핵심지도자인 무쏘(Musso)는 검거를 피해 소련으로 망명했다. 이로써 PKI의 무장투쟁은 완전하게 실패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1945년까지 자취를 감추었다.

 

인도네시아국민당(PNI) 핵심지도자들 사진 /위키피디아
인도네시아국민당(PNI) 핵심지도자들 사진 /위키피디아

 

1922년 네덜란드에 유학하던 모하마드 하타, 수단 샤흐리르 등의 학생들이 기존의 동인도협회를 인도네시아 협회로 개칭하고 민족주의 정치단체로 탈바꿈시켰다. 이들은 네덜란드에 대항핟기 위해 인도네시아 군도가 통합해야 한다는 의미로 인도네시아라는 단체명을 처음으로 채택했다.

이제 인도네시아 독립운동의 영웅 수카르노(Sukarno, 1901~1970)가 등장할 차례다. 수카르노는 자바 수라바야에서 공립학교 교사이던 아버지와 발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유럽식 중등학교를 다녔고, 무쏘 등 사회주의자들과 교류했다. 1921년 반둥공대에 입학해 이슬람운동가와 공산주의자와 만났으며, 반둥스터디클럽이라는 민족단체를 조직했다. 1926년 졸업할 무렵에 그는 당시 여러 이념을 종합해 나사콤(Nasakom)이란 운동 이론을 만들어냈다. 나사콤은 민족주의(Nasionalisme), 종교(Agama), 공산주의(Komunisme)의 약자를 딴 것으로, 이슬람연맹(SI), 공산당(PKI)의 이념에 민족주의를 결합한 것이다.

1927년 수카르노는 자신이 조직한 반둥스터디클럽과 네덜란드에서 하타 등이 조직한 인도네시아협회를 통합해 인도네시아민족연합을 결성하고, 이듬해 이 조직을 인도네시아국민당(PNI)으로 개칭했다. 인도네시아국민당은 이슬람세력과 공산당 잔여세력을 포괄하며 급속하게 확산되어 1929년 당원수가 1만명을 헤아렸다.

이들은 19281028일 청년회의에서 숨파퍼무다(Sumpah Pemuda)라는 역사적인 선언을 제창하는데, 이는 하나의 국가, 하나의 민족, 하나의 언어라는 인도네시아 민족운동의 테제가 되었다. 이 회합에서 홍백기가 국기로, ‘위대한 인도네시아가 국가로 채택되었다. 이때 정한 국기와 국가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네덜란드 당국이 수하르토와 하타가 주도하는 인도네시아국민당의 활동에 경계심을 갖게 되어 탄압국면으로 돌아섰다. 1929년 당국은 수카르노 등 지도부를 대량 검거했고, 수카르노는 공공질서를 해쳤다는 이유로 4년형을 받았다. 이어 19314PNI는 해산되었다. PNI의 잔여세력들은 인도네시아당(Partindo, 파르틴도)를 설립했다.

수카르노는 감형을 받아 193112월에 석방되었다. 수카르노는 파르틴도에 가입해 다시 정치활동을 벌였다. 수카르노의 참여에 파르틴도는 1932년에 2만명의 당원을 확보하게 되었다. 식민당국은 1933년 수카르노를 다시 체포해 감옥에 넣었다. 하타와 샤흐리르도 체포되어 보벤디굴 감옥에 수감되었다. 1934년말까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은 대부분 구금되었다. 독립운동은 정체되었다.

 

지도자들이 대거 체포된 이후 민족운동은 온건해졌다. 1935년 온건성향의 대인도네시아당(Parindra)이 결성되었고, 1937년엔 온건사회주의 성향의 인도네시아인민운동(Gerindo)이 조직되었다. 두 정당과 이슬람세력은 국제적인 반파쇼연합의 추세에 맞춰 1939년 인도네시아정치연맹을 결성하고, 네덜란드에 자치를 요구했다.

이 시기에 국제정세는 급변했다. 19399월 나치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2차세계대전이 시작되었고, 19405월 네덜란드는 독일에 점령되었다. 본국이 없는 식민지가 2 년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1942년초 일본제국주의 군대가 쳐들어왔더. 인도네시아 민족운동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참고한 자료>

Wikipedia, Indonesian National Awakening 

Wikipedia, Budi Utomo 

Wikipedia, Sarekat Islam 

Wikipedia, Communist Party of Indonesia 

Wikipedia, Sukarno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